최근 3년간 우리나라의 성평등 지수는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여성가족부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분석한 ‘2011 한국의 성평등보고서’에서 2010년 우리나라 성평등지수는 완전한 성평등 상태를 100점으로 볼 때 62.6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62.1점)에 비해 0.8포인트(p) 오른 것으로 여전히 낙제 수준이다.
성평등지수는 가족, 복지, 보건, 경제활동, 의사결정, 교육·직업훈련, 문화·정보, 안전 등 8개 부문을 각 부문을 대표하는 20개 지표 값에 가중치를 반영해 산출한다.
부문별로는 ‘보건’이 89.1점으로 성차별이 가장 적었고, ‘의사결정’이 19.2점으로 가장 심했다. 이는 성평등 관련 각종 국제지수에서 대표성 분야의 우리나라 순위가 특히 낮은 것과 일맥상통하는 결과로, 우리나라 성평등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치·행정·경제 등 각 분야 여성의 의사결정직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 추진이 여전히 시급함을 보여준다.
‘안전’ 부문에서도 강력범죄 피해자 증가율이 여성이 남성보다 높고, 전체 피해자 수도 매년 급증하고 있어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김금래 여성가족부 장관은 “성평등 수준이 낮은 부문과 개선이 지체되고 있는 부문에 우선순위를 두고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여성가족부는 우리나라 성평등 수준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 통계청 등 관계 부처와 협력해 지속적으로 성별 분리가 필요한 통계를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성평등보고서는 사회부문별 성차별의 원인, 성평등 수준과 개선 정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목표치를 설정하는 등 국가의 성평등 정책 전략을 체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취지로 2010년부터 발표하고 있다.